영화가 단면적이고 광주의 입체적인 면모를 보여주지 못했다는 비판이 있으나, 그러면 대체 어떻게 했어야 했냐고 되묻고 싶다. 보통 이런 비판을 하는 측에서는 피해자 집단 안의 다양한 갈등양상을 보여주던가, 혹은 가해자와 구분이 안 되는 회색지대를 보여주길 바란다. 하지만 광주는 저런 걸 입증할 사료는커녕 언급조차 하는 기록도 찾기 힘들다. 광주의 남은 미스터리라곤 전두환이 정말 어디까지 지시를 했는지와 같은 것들 뿐이다. 2차원적 기록의 어디에 층을 쌓아 올려야 한 차원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것일까?


광주를 그 어떤 영화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봤던 이창동의 <박하사탕>도 지나치게 폭력적인 묘사만 피했을뿐 사건을 다시 해석하지는 않았다. 이또한 이창동이 힌츠페터의 영상을 안봤을리가 없으니, 광주에 폭력이 없어서라고 생각했던 게 아닐 것이다. 사건이 폭력적인 것과 폭력을 영상에 재현하는 것은 다른 문제고, 또 영호(설경구)가 이십여년에 걸쳐 순수함을 천천히 잃어가게도 해야 하니 광주의 폭력에 집중할 수도 없었다. 하지만 <택시운전사>처럼 사흘 남짓의 사건을 재현하는 영화가 폭력적이고 평면적인 묘사를 피할 길이 있을까?


만약 방법이 있다면 택시운전자 캐릭터를 바꾸는 게 유일한 방법이 아닐까 싶다. 극중의 송강호는 <변호인>의 송변을 연상케한다. 속물적인 변호사였다가 각성하여 인권변호사가 된 송변이, 학생운동만 보면 혀를 차다가 광주의 참상을 보고 자신을 희생하는 택시운전사가 된 것이다. 송변은 실제 모델이 있다. 택시운전사도 실제 모델이 있기는 한데, 여기서 결정적 차이가 있다. '택시운전사'는 힌츠페터를 태우고 광주로 진입한 택시운전사가 있다는 것 빼고는 모든 게 완전한 창작에 가깝다. 극중 사건의 대부분이 실제 증언을 각색한 것인데도(심지어 실화라고 도저히 믿기지 않는 '그 장면'도...), 막상 주인공인 택시운전사는 그렇지 않다. 당사자인 힌츠페터도 그에 대해 아는 게 거의 없기 때문이다. 조선왕조실록에 한 줄 달랑 있는 '대장금'이라는 단어로 50부작 드라마가 탄생한 것과 비슷한 상황이다.


송강호의 훌륭한 연기, 외화 벌러 사우디 갔다왔다는 설정, 택시운전사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보수적이고, 쪼잔할 것 같고, 말 많고, 적당히 불친절하고 등등...)이 겹쳐 설득력 있는 외부의 관찰자 캐릭터가 나왔다. 하지만 실제 택시운전사 김사복 씨는 그렇지 않았을 가능성도 충분하다. 원래 정의감이 넘치는 사람일 수도 있고, 해외 파견 노동자들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일 수도 있고, '비싼 돈 내고 학교 보내놨더니 데모하는 학생'에 별 관심이 없을 수도 있고, 나이를 보아하니 4.19에 참여했을 가능성도 있고, 손님이 듣기 싫다고 해도 전두환 욕을 줄줄 하는 사람일 수도 있고, 외국인 손님들에게도 열린 마음으로 대하는 사람이었을 수도 있고, 말투에 동남방언이 섞인 송강호와는 전혀 다르게 고향이 광주여서 귀향하는 마음으로 힌츠페터를 태워줬을 지도 모르는 일이다. 하지만 영화는 이 모든 가능성을 배제하고 안 그래도 바깥사람인 송강호를 더 밖으로 내몰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그래서 아마 다음 광주 영화가 나온다면 새로운 시선이 가능하지 않을까. 외부자의 시점에서 관찰만 하지 않고, 내부자를 억지로 찢지도 않고...요컨대 설정에서 기승전결을 끌어내는 게 아니라 내부자의 시점에서 어떤 인물들이 항쟁을 주도하였고 어떤 판단을 왜 내렸는지, 혹은 내부자들과 교집합을 가진 사람들이 사건을 어떻게 겪고 이를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사태의 본질이 폭력인데 이 과정에서 반드시 폭력을 배제할 이유도 없다고 본다.


송강호는 늘 그랬듯이 훌륭하다. 대한민국에서 착잡한 표정을 가장 잘 짓는 사람이 아닐까...


Posted by 시니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