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이 요즘처럼 멍청하게 느껴진 적도 없다. 예를 들자면, 불과 10년 전만 해도 논술학원에서 복거일 같은 사람들이 강력하게 주장한 영어공용화 같은 주제로 글을 쓰고 토론을 했다. 당시 나는 구체적인 논거라기보다는 감정적으로 거부감이 들었기 때문에 중학생의 머리를 쥐어짜며 논리를 만들고 또 남의 논리를 가져오면서도, 어쩔 수 없는 시대의 흐름에 맞서는 것 같아 마음 한 켠에 걸리는 것이었다. 아마 그때 홍해 앞에 선 모세처럼 앞장서서 영어공용화를 주장했던 사람들도 이게 피할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렇게 의기양양했을 것이다. 결국 미래의 담지자는 우리이며 시간이 증명할 것이라고.

하지만 막상 10년이 지나고 보니 어떤가? 기계와 인간의 대결이 픽션에서 현실의 영역으로 넘어오면서(그리고 기계의 승률이 높아지면서!), 외국어 학습도 비슷한 처지가 되어버렸다. 언어장벽이, 특히 영어공용화 수준의 얕은 정책으로 해결될 언어장벽은 조만간 사라질 것이다. 얼마나 허탈한 일인지, 영어공용화를 반대했던 사람들도 그 근거 7번에서 8번 정도로 기계번역이 우리의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라고 간곡한 희망을 담아 말했지만, 이렇게 빨리 될 줄은 몰랐을 것이다. 물론 그때도 미래를 제대로 예측한 사람이 소수 있긴 있을 것이다. 그때도 구글에는 기계번역 프로젝트 담당자가 있었을 것이고. 그 사람이 영어공용화 논쟁 같은 걸 알았다면 웃음을 터트렸을 것이다. 거기서 한민족의 미래 같은 레토릭이 오갔다는 것을 알았더라면 더 우스워했을 텐데 말이다. 그러니 지금 이 마당에 한민족의 미래가 문제인가? 인류의 미래부터 걱정해야 한다.

이 와중에도 독어독문학과보다는 꽤 오래 버틸 종류의 일이 있긴 하다는 건 알겠다. 영어공용화처럼 멍청한 예상이 될 수도 있겠지만, 이세돌 같은 천재와 바둑으로 맞짱을 뜰 수는 있어도 이족직립보행은 18개월 영아들보다 힘들어하는 기계의 발전방향을 보니 대충 짐작은 간다. 방학 내내 교내 출판부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는데, 책의 잘못 인쇄된 부분에 종이를 잘라 붙이거나 멍청한 지시 때문에 무거운 박스를 여기 옮기고 저기 옮겼다가 또 여기로 옮기는, 우리가 흔히 기계적이라고 부르는 일 중에서도 특히 고역스러운 일들은 막상 기계로 대체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노래방 책에 A4지 끼우는 일도 사람이 계속 할 것 같다. 회식자리에서 할배들 기분 맞춰주고 잔소리 듣는 고역도 결코 기계가 대체하지 못할 일이다. 여기에는 물론 할배들과 우리가 기계로 대체되지 않았다는 전제가 붙는다.

사람을 돌보는 일도 많은 부분 기계의 도움을 받긴 하겠지만 살아남긴 할 것 같다.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처럼 간호사보다 전문성과 직업안정성이 떨어지는 유사한 직업들 이야기다. 기계가 중풍 걸린 환자를 이 침대에서 저 침대로 옮기는 일이나 대소변을 받는 일을 쉽고 저렴하게 하려면 시간이 꽤 걸리지 않을까 싶다. 기계에 대한 거부감이야 사실 이런 문제가 해결되면 금방 해결될 것이다. 아직은 기계가 인간을 배신할 줄 모르고, 절대 배신하지 않는 것들은 언제나 감동적이다. 나도 교직원보다는 기계와 일하고 싶었다. 복거일 같은 사람들의 입을 닫아준 기계들에게는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기계가 할 수 있는 일하고 가장 먼 것처럼 보이는 예술도 어떻게든 살아남을 것 같다. 지금까지도 악조건에서 어떻게든 살아남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그럴 것 같다. 하지만 ‘딥 블루’가 체스 그랜드마스터들의 신의 한 수를 직관에서 계산의 영역으로 끌어내렸던 것처럼, 기계로부터 중대한 도전을 맞이할 것이다. 감각과 이성, 감정과 이성은 얼마나 다를까 혹은 얼마나 유사할까? 데이터베이스에서 사람들이 좋다는 것들 다 끌어 모아서 만들면 좋은 게 완성되지 않을까? 창조인가 반복인가? 다른 분야는 모르겠지만 최소한 충무로에서는 감각과 이성이 아주 멀리 떨어져있다고 호소하는, (높은 확률로 늙은 남성)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는 영화를 제작한 후, 명절에 개봉관을 2,000개쯤 잡아서 개봉할 것이 눈에 훤히 보인다.

요약하자면 좀 하찮은 일들이 오래갈 것으로 보인다. 일에 귀천이 어디 있냐는 뻔한 문구가 반박으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되는데, 물론 일에 귀천은 없을 수 있겠지만,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있고, 인소싱과 아웃소싱도 있으며, 고임금과 저임금도 있다. 주로 후자에 속하는 일들, 시장이 하찮다고 말하는 일들, 즉 기계로 대체하기에는 까다로우면서도, 인건비는 저렴한 일들이 살아남을 것으로 보인다. 사라지는 일자리가 기계를 다루는 일들로 메워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자리가 얼마나 생길 지는 잘 모르겠고, 일단 확실한 건 학부 4년 독어독문학 배우고 대학원 가서도 여전히 기계와 먼 일이자 기계에게 대체될 게 유력할 일을 할 나의 미래는 아닌 것 같다.

뉴스를 보니 요즘 아파트마다 경비원을 CCTV로 대체하여 원가를 절감하느니 마니로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단다. 경비원들 측에서 만약에 자신들을 CCTV로 대체한다면, 아이가 차에 치이는 상황 등 긴급한 행동이 필요한 상황에서 행동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을 근거로 들었다. 옳은 말인데, 이 상황에서 누가 옳고 그른 것을 떠나 많은 직업인들이 같은 상황을 맞게 될 것이라는 예감이 든다. 우리가 경제적으로는 몰라도 사회적으로 효용이 있고 법리적으로 권리가 있음을 스스로 증명해야 하는 피곤하고 지치는 상황 말이다. 이미 대학의 인문학자들이 수 년 전부터 해오던 일들이 모두에게 닥칠 것이다. 그냥 궁금해서, 그냥 하고 싶어서 공부를 하고 일을 한다는 말이 담대하게 들릴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요 며칠 이런 생각을 하고 사는데, 마침 필리버스터를 보는데 전순옥 의원이 그의 오빠였던 전태일이 했던 말을 반복했다.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딴 생각이 들었다. 그때는 인간다운 삶을 위한 구호였고, 아직까지는 기계처럼 대하지 말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지만, 이제 조만간 시장에서 기계와의 차별화를 위한 구호가 될지도 모른다. 기계와 다른 인간만의 장점이 있다고. 사실 기계에게 직접 하는 말은 아니다. 기계심장을 가진 인간들에게 하는 말이 될 것이다.

Posted by 시니사
,